매일우유 창업주에 대해 글 써봄니다.
매일유업은 김복용(金福鏞) 창업주가 설립했습니다.
그는 1920년에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난 실향민 기업인으로, 호는 진암(晉巖)입니다.
본래 매일유업의 전신은 1969년 정부와 김복용 회장이 50:50으로 출자해 설립한 '한국낙농가공'이었습니다. 그는 낙농 기술이 없는 농가에 신용만으로 자금을 대출해주고 젖소를 지원하는 등 한국 낙농업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1971년에 경영권을 확보하고, 이후 1980년에 회사명을 매일유업으로 바꾸며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김복용 창업주는 평생을 낙농 산업에 대한 사명감과 공익 추구에 힘썼고, 2006년에 세상을 떠난 뒤 현재는 그의 장남인 김정완 회장이 회사를 이끌고 있습니다.

매일유업의 여러 사회공헌 사업 중 가장 널리 알려지고 '착한 사업'으로 평가받는 것은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를 위한 특수분유 생산과 **'어르신의 안부를 묻는 우유배달'**입니다.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를 위한 특수분유 생산
이 사업은 매일유업의 창업 정신과도 연결된 핵심적인 사회공헌 활동입니다.
- 사업 내용: 선천적으로 특정 아미노산 대사에 문제가 있는 환아들은 일반 분유나 모유는 물론, 쌀밥이나 고기 같은 일반 식사를 소화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환아들은 평생 특수 분유와 저단백 식사를 해야 하는데, 매일유업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들을 위한 특수분유 8종 12개 제품을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 사회적 의미: 이 분유는 시장성이 매우 낮아 다른 기업들이 생산을 꺼리는 제품입니다. 매일유업은 이윤보다는 '단 한 명의 아이도 소외되지 않도록'이라는 기업 철학을 바탕으로 1999년부터 25년 이상 꾸준히 이 사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어르신의 안부를 묻는 우유배달
매일유업이 후원하는 독거노인 지원 사업으로, 우유 배달을 통해 어르신의 안부를 확인하는 활동입니다.
- 사업 내용: 매일유업의 가정 배달원들이 매일 아침 독거노인 가정에 우유를 배달하고, 우유가 남아 있으면 노인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인지하고 즉시 사회복지사나 담당 관공서에 알리는 시스템입니다.
- 사회적 의미: 단순히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고독사 등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는 효과를 낳으며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참여를 얻고 있습니다. 매일유업은 '소화가 잘되는 우유' 매출의 일부를 기부하는 '1%의 약속' 캠페인 등을 통해 일반 고객의 참여도 독려하고 있습니다.
- 최소한 우유먹을때 있지말자 매일우유
그럼 매일우업 주가 확인해보죠
매일유업 (267980)의 주가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제가 제공하는 정보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참고용이며,
현재 시점의 정확한 주가 정보는 아닙니다.
실시간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와 같은 금융 사이트를 통해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네이버 금융: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67980
- 카카오 증권: 카카오톡 앱 내 '증권' 탭에서 검색
- 증권사 앱: 사용하시는 증권사의 모바일 앱 또는 HTS/MTS에서 '매일유업' 또는 종목코드 '267980' 검색
일반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는 주가 상세 정보 (예시):
(주의: 아래 숫자는 실제 현 주가가 아니며,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데이터입니다.)
- 종목명: 매일유업
- 종목코드: 267980
- 시장구분: 유가증권 (코스피)
1. 현재가 및 추이: * 현재가: 38,000원 (예시) * 전일 대비: +500원 (+1.33%) (예시) * 시가: 37,500원 (예시) * 고가: 38,200원 (예시) * 저가: 37,300원 (예시) * 거래량: 55,000주 (예시) * 거래대금: 20.9억 원 (예시)
2. 시가총액 및 발행주식수: * 시가총액: 약 1.05조 원 (예시) * 상장주식수: 27,650,000주 (예시)
3. 재무 현황 (주요 지표): * PER (주가수익비율): 15.50배 (예시) -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 높을수록 고평가, 낮을수록 저평가로 볼 수 있으나, 산업별 비교가 중요합니다. * PBR (주가순자산비율): 0.70배 (예시) -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 1배 미만이면 장부상 가치보다 주가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 EPS (주당순이익): 2,450원 (예시, 최근 1년 기준) * BPS (주당순자산): 54,000원 (예시, 최근 결산 기준) * 배당수익률: 1.50% (예시, 작년 배당 기준) - 주가 대비 배당금 비율.
4. 52주 최고/최저가: * 52주 최고가: 45,000원 (예시) * 52주 최저가: 30,000원 (예시)
5. 외국인 보유율: * 외국인 보유율: 12.5% (예시) -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보유 비중.
6. 차트: * 일봉, 주봉, 월봉 등 다양한 기간의 주가 흐름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7. 투자자별 매매 동향: * 외국인, 기관,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순매도 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기업 개요: * 주요 사업 내용 (유제품, 커피, 외식 등), 최근 실적 발표, IR 정보 등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주가 변동 요인: 매일유업의 주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할 수 있습니다.
- 실적: 분기/연간 실적 발표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 제품 출시/성장: 신제품 히트, 특정 제품군 (예: 락토프리 우유, 성인영양식)의 성장세
- 원재료 가격: 원유 가격, 수입산 원재료 가격 변동
- 경쟁 심화: 타 유가공 업체와의 경쟁 구도
- 소비 트렌드: 건강 중시, 유제품 소비 감소/증가 등
- 배당 정책: 배당 확대 또는 축소 가능성
- 경제 상황: 전반적인 경기 침체 또는 회복
- 수급: 기관,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매도 흐름
투자를 고려하신다면 위에 언급된 정보들을 토대로 충분히 분석하시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탄탄하죠! 매일매일 우유